"여기에서,
함께 만듭니다."
예술인들의 만남, 교류와 탐구 그 안에서 펌핑하는 새로움을 기다립니다.
도화동 옛 상수도 가압펌프장이 인천공연예술연습공간으로 재탄생한 이후 이곳은 예술가들의 창작터, 쉼터, 모임터, 춤터가 되었습니다.
<2020 도화가압장은> 이 공간의 성격을 찾고 사유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수도동맥이라 불리던, 서울로 통하는 길 맥, 펌프로 올려진 생활용수를 공급받던 동네,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했고 또 도움을 받아야 움직이는 이야기.
지금 당신은 무엇으로부터 도움받고 또 어떤 형태로 도움 주며 움직이고 있나요?
또 당신의 동료들은 어떻게 활동하고 있을까요?
동시대에 예술로 일하고 예술로 말하는 목소리들이 궁금합니다.
올해 <2020 도화가압장>은 '수봉공원'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고민합니다.
도화동의 오랜 상징물로서 이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도맡아 온 수봉공원.
비대면 시대의 한복판에서 지금은 사라진 관람차와 회전목마를 그려보는 우리는 '공원'이 갖는 대면의 속성을 기억하고 공연 예술인들의 만남과 교류에 집중합니다.
당신이 알고 있는 '수봉공원'과 당신의 작업이 만난다면 어떨까요. 리서치 워크숍을 통해 축적되고 변모하는 당신의 작업이 기대됩니다.
이곳에서 동료 예술인을 만나고,
여기에서, 함께 만듭니다.
공연예술
연습공간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인천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이 무엇일까? 여러 예술가들을 만나 물었을 때 들었던 답은 ‘각기 다른 공연예술단체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지 않는다.’ ‘어떤 단체가 지역에서 활동하는지 알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예전과 같이 큰 단체에 소속되어 각자의 활동을 홍보하고 교류하는 형태가 더 이상 유의미하기 어려운 시대의 반영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인천공연예술연습공간이 인천에서 활동하는 공연예술가 개개인들을 만나는 역할을 해보자. 그래서 우리가 그들 간의 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장소로 자리잡아보자는 것이었다.
[ultimate_modal modal_title="공연예술연습공간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btn_txt_color="#ffffff" modal_on_align="left" btn_text="전체 내용 보기" modal_size="block" modal_style="overlay-fade" el_class="popup-contents"]인천공연예술연습공간이 문을 연지 6년차를 맞이했다. 쓰지 않는 자재 보관 용도로 사용되었던 상수도 사업본부의 오랜 된 창고를 리모델링해 공연예술연습공간으로 사용하자 사업을 제안했던 때가 2014년이었다.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3자간 협약으로 도화2가압펌프장을 공연예술연습공간으로 변화시켜 운영해오고 있는 공간이다. 안정적으로 해당 공간이 운영되며 연간 이용 예술가 수는 18,443명(2019년 기준) 에 달한다. 이러한 공간의 사용률을 보면 그동안 지역의 공연예술가들의 공연연습공간으로 얼마만큼 활발히 활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올해는 창작지원부 소속으로 공연예술연습공간이 자리 잡으면서, 공연예술연습공간이 지역의 공연예술 생태계 안에서 공간만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어떤 새로운 역할과 미션을 찾아 그동안의 역할을 넘어 새로운 5년을 기약해볼 수 있는 사업이 필요했다.
안정적으로 시설을 대관하고 이용하게 하는 것 역시 중요한 기능이겠으나, 그럼에도 이 공간을 공연예술가들이 어떻게 더 자주 찾게 할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떤 역할을 필요로 할지를 궁금해 하며 공연예술가들을 개별로 만나 의견을 묻고 사례 조사를 실행했다.
인천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이 무엇일까? 여러 예술가들을 만나 물었을 때 들었던 답은 ‘각기 다른 공연예술단체의 활동에 대해 살펴보지 않는다.’ ‘어떤 단체가 지역에서 활동하는지 알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았다. 예전과 같이 큰 단체에 소속되어 각자의 활동을 홍보하고 교류하는 형태가 더 이상 유의미하기 어려운 시대의 반영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인천공연예술연습공간이 인천에서 활동하는 공연예술가 개개인들을 만나는 역할을 해보자. 그래서 우리가 그들 간의 교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장소로 자리잡아보자는 것이었다.
이 기대감과 함께 코로나19라는 큰 시련을 우리는 마주하고 있었다,
공연예술연습공간의 사업비는 국비 시비 매칭사업으로 운영되었고, 2020년부터는 시비의 비율이 더욱 커진 상황이었다. 이러한 예산 구조 안에서 인천문화재단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자 본 사업에 재단의 예산을 편성했다, 개관이래 처음 있는 일이었다,
처음 시도는 공연예술 부스마켓 등으로 구성하고 라운드 테이블 및 네트워킹 프로그램들로 마련해 지역의 예술가 단체 간의 교류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 공연예술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의 접점을 찾아가자는 취지였다. 당연히 공간을 가득 채우는 페스티벌 형태를 구상하고 시작된 사업이었으나, 코로나19의 기세는 꺾이지 않았다. 본 사업의 진행 방향을 점검하며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했다.
현장에서 다양한 경험들을 가진 전문가 분들을 기획위원으로 모시고, 해당 사업을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기 시작했다, 사업의 방향과 사업의 목적에 대한 포지셔닝, 그리고 결과보다는 과정 중심의 행사를 꾸려내고 한정된 예산 내에서 지원사업 형태로 사업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지역 성격과 연습공간 정체성을 감안한 해당 사업의 특색을 찾아 가는 과정이었다,
이 과정은 뒤이어 담겨질 페이지에서 그 현장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담았다.
과정에서 이뤄진 연속된 고민들 속에서 연습공간의 역할과 기능의 확장성 등을 탐구할 수 있었다,
긴 고민의 길을 기꺼이 함께 마련해주신 기획위원분들과 그리고 그 새로운 길을 즐겁게 걷고 즐겨준 참여 예술가들께 감사드린다.
새로운 실험들로 이뤄진 프로젝트의 완결성과 작품성을 논하기에는 코로나19라는 제약이 컸다. 그럼에도 온라인으로라도 서로를 이해하고자 노력했던 시간들과 그 속에서 느낀 유의미한 부분은 이번 사업의 결과물로 충분히 남았으리라 생각한다.
앞으로 해당 사업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더 많은 공연예술가들이 공연예술연습공간을 인천의 공연예술 생태계 내 한 역할을 담당하는 곳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공연예술연습공간의 리딩 룸에 남겨진 가압장의 펌프는 아직 살아있다. 언제든 파이프를 연결하면 물이 쏟아질 준비가 되어있다. 공연예술연습공간도 그 모습과 같이 존재하려 한다.
2020.10.
인천문화재단 창작지원부[/ultimate_modal]